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동성함정
- 주가의 종류
- 빅맥지수 #Big mac Index
- 노동공급결정 #사회복지제도 #소비저최적선택이론
- IS-LM
- 전세상한제
- 종합주가지수 개념
- 합명회사
- PSR
- 주식초보
- 미시경제 #조건부상품
- 가격상한제
- 토스
- 주식
- 이코노미
- 공모주
- 양적완화 #헬리콥터머니 #quantitative easing
- 토익스피킹
- 개념용어
- 미시경제
- ROE
- 가격하한제
- 합자회사
- 재정정책
- TOEIC specking
- 무차별곡선 #한계효용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예산선 #미시경제
- 통화정책
- TOEIC Speaking
- 유한회사
- 미시경제 #기대효용이론 #확실성등가 #리스크프리미엄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2)
프라하또가고싶다

이전 글에서 효용함수의 무차별곡선의 특징과 예산선에 대해서 배웠다. 이번에는 효용함수의 무차별곡선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는 어느 재화 혹은 상품의 가격이 변화할 시 수요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효과다. 대체효과 대체효과란 순수하게 가격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최초의 효용이 고정되었다고 가정한 후에 오로지 가격의 변화가 수요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나타내는 것이다. 위의 그래프는 기존의 상품에서 X재의 가격이 하락하여 예산선이 늘어난 상황이다. 예산선이 늘어난 시점에서 최적의 효용은 b이다. 그러나 대체효과는 효용이 고정돼있다는 가정을 한다. 따라서 b를 기존의 효용으로 끌어 내려야한다. 그결과 b는 첫번째 효용곡선으로 내려와 b'으로 표시..

전국적으로 저성장, 저금리,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미국의 실업률은 3.5%로 근 50년 간 최저수준이다. 그러나 미국의 물가수준은 여전히 미연준의 목표수준인 2%에 미치치 못하고 있다. 지난 금융위기 이후 10년간 장기 저물가현상이 계속해서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수요와 공급관점에서 살펴보자. 글로벌 임밸런스와 글로벌 리밸런싱 전세계적으로 현재 저물가, 저성장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를 알아보기 전에 위의 두 개념에 대해서 알고 이해하면 보다 수월하다. 글로벌 임밸런스란 말 그대로 무역불균형인 상태이다. 1990년부터 2000년대 초반 까지는 미국이 글로벌 임밸런스의 시대를 겪었었다. 당시 미국은 제조업과 같은 산업들을 상대적으로 물가가 저렴한 개발..

모든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여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소비자들의 목적이다. 즉 합리적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은 주어진 예산하에서 효용을 극대화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효용이란? 효용이란 소비자가 어떠한 상품 또는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만족감이다. 합리적 소비자는 재화나 상품을 선택할 때 자신에게 가장 큰 효용을 주는 것을 선택한다. 하지만 이러한 효용은 극히 주관적이므로 절대적 수치로 표현할 수 없다. 즉 상품 A와 B가 있다면, A가 주는 효용이 더 커서 선택할 것이고 이는 서수적 효용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시각이다. 총 효용함수의 공식은 U=U(x,y)이다. 위의 그림에서 같이 효용은 상승하다가 어느 변곡점을 지나면서 점차 완만해진다. 원점에..

빅맥지수란? 빅맥은 맥도날드에서 가장 인기있는 햄버거 중 하나이다. 개인적으로 필자도 맥도날드로 가면 빅맥밖에 먹지 않는다. 그만큼 크고 맛있고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받고 있따. 그렇다면 빅맥지수란 무엇인가? 빅맥지수(Big mac Index)란 동일한 재화는 동일한 가격이라는 '일물일가의 법칙'이 적용된다는 가정하에, 미국의 달러를 기준으로 하여 각국의 빅맥을 달러로 환산하여 표시한 가격지수이다. 이를 통해 특정 국가의 통화가 저평가 혹은 고평가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척도로 사용된다. 다음은 오늘(2020년 3월 25일) 기준의 환율이다. 오늘의 환율은 1,231원이다. 즉 달러가 조금 약세하였고 우리나라의 통화가 조금 올랐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4,900\ 미국 $3.99 실제 시장환..

이전 글에서 조세부과 및 조세의 귀착에 대해서 다룬 적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전 글의 배경지식을 적용하여, 가정 정부가 기업에 종량세를 부과할 시 발생할 수 있는 효과를 다루어 보겠다. 정부가 기업에 종량세를 부과할 시 완전경쟁시장에서 정부가 판매자인 기업에게 조세를 부과할 시, 일반적으로 공급이 감소하면서 재화의 가격은 인상되고, 그에 따른 세금의 부담은 판매자와 소비자에게 모두 전달 된다. 이를 흔히 '조세의 귀착'이라고 한다. 알기 쉽게 설명하겠다. 기존의 어느 가격과 수요에서 형성된 재화의 소비자잉여는 A, B, C 이며 생산자 잉여는 D, E, F 일 것이다. (ABCDEF 이해가 안될 시, 게시글 중 '조세부담과 조세의 귀착'을 읽고 올 것을 추천한다. 필자가 까먹고 위의 그래프에서 표시를..

총수입은 상품의 가격과 수량을 곱한 값으로 결정이 된다. Price*Quantitiy=Total Revenue 며칠 전, 수요공급의 탄력성에 관하여 글을 작성하다가 후반부에 총수입과 가격탄력성에 대해서 살짝 언급했었다. 오늘은 총수입과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관계에 대해서 복습할겸 한번 더 작성해보려고 한다. 상품의 가격 변화 시 총수입이 증가할지 혹은 감소할지의 여부는 가격의 탄력성에 의해 결정이 된다. 상품의 가격에 대한 수요탄력성이 단위 탄력적일 경우에는, 가격이 변화하더라도 총수입의 변화가 없다. 즉 기울기가 1인 것이다. 즉 아래 그림에서 맨 왼쪽과 같이 노란색 영역에서 가격이 줄어 수요가 늘었지만, 단위 탄력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초록색 영역인 총수입의 크기는 같다. 두번째로는 상품의 총수입이 ..

트럼프 행정부 이후 시작된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은 관세보복전쟁으로 확산되어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을 확산시켰었다. 전세계 GDP의 36%를 차지하고, 세계 교역 1,2위를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양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경제를 흔드는 사안이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의 갈등은 관세전쟁과 환율조작국 지명 그리고 테크기업 규제까지 이어졌지만 2020년 1월에는 양국이 '1단계 합의안'을 체결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의 다툼은 휴전일 뿐, 현재진행형이라는 여론이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미국과 중국은 왜 무역분쟁을 일으켰는지에 대해서 경제적, 정치적 시각에서 알아보자. 무역분쟁의 배경 1) 미국 제조업과 테크기업의 위기 미국의 러스트벨트는 제조업제품 수출로 타격을 받은 지역으로 트럼프가 대선당시..

서울 아파트시장: 정부규제의 역설 최근 서울의 아파트 값을 정부가 주택담보대출규제, 보유세 인상, 양도세규제, 분양가 상한제 등과 같은 강도 높은 규제를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의 값이 3~4년 전에 비해 2배 가까이 상승했다. 가계대출이 1500조에 육박하고 금리인하로 수많은 자금들이 시장에서 활발하게 유입되자 서울 아파트의 가격은 하늘을 치솟고 있다. 지금부터 서울 아파트 값의 상승요인을 수요와 공급 관점에서 알아보자. 서울 아파트 값 상승요인 수요측면: 1)투기적 과수요, 2)저금리, 3)주택부족에대한 기대감 1) 다주택자, 갭투자 의 투기적 수요 통계청에 따르면, 오늘날 서울의 1인당 보유주택수는 줄었지만, 1인 2주택 이상의 다주택자들의 수는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서울의 주택 중 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