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TOEIC Speaking
- 빅맥지수 #Big mac Index
- 주식
- TOEIC specking
- 토익스피킹
- 토스
- 가격하한제
- PSR
- 통화정책
- 개념용어
- 미시경제
- 미시경제 #기대효용이론 #확실성등가 #리스크프리미엄
- 재정정책
- 주가의 종류
- 공모주
- 노동공급결정 #사회복지제도 #소비저최적선택이론
- 양적완화 #헬리콥터머니 #quantitative easing
- 종합주가지수 개념
- 유한회사
- ROE
- 이코노미
- 전세상한제
- 합자회사
- 합명회사
- IS-LM
- 무차별곡선 #한계효용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예산선 #미시경제
- 가격상한제
- 주식초보
- 미시경제 #조건부상품
- 유동성함정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재정정책 (1)
프라하또가고싶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8RFy/btqDyNPitrc/ReO52RAERJTuqMA3spGe01/img.png)
ㅣ GDP의 총수요는 재화시장, 화폐시장, 외환시장으로 구분되어있다. 그 중 재화시장과 화폐시장은 자유무역이 허용되지 않는 것을 가정해 이를 폐쇄경제라고 하며, 외환시장은 개방경제의 형태이다. 즉, GDP의 총수요의 균형을 구성하는 요소를 폐쇄경제와 개방경제로 나눌 수 있다. 재화시장의 균형(IS)재화시장의 균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 (총생산) = C (가계지출) + I (기업지출) + G (정부지출) 이를 세금(t)를 적용한 후 다른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Y - T - C ) + ( T - G ) = I Sp (민간저축) + Sg (정부저축) = I S (총저축) = I (총 투자) 그리고 이러한 저축과 투자를 일치시키는 매개변수는 이자율(r)이다. 이를 우리는 재화시장의 균..
공부/미시, 거시
2020. 4. 19. 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