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모주
- 토익스피킹
- 통화정책
- 미시경제
- 노동공급결정 #사회복지제도 #소비저최적선택이론
- 전세상한제
- 유동성함정
- PSR
- IS-LM
- 주가의 종류
- 빅맥지수 #Big mac Index
- ROE
- 개념용어
- 미시경제 #기대효용이론 #확실성등가 #리스크프리미엄
- 합자회사
- TOEIC specking
- 미시경제 #조건부상품
- 합명회사
- 유한회사
- 무차별곡선 #한계효용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예산선 #미시경제
- 주식
- 재정정책
- 주식초보
- 이코노미
- TOEIC Speaking
- 가격상한제
- 토스
- 종합주가지수 개념
- 가격하한제
- 양적완화 #헬리콥터머니 #quantitative easing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2)
프라하또가고싶다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수많은 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 그리고 그 선택의 결과로 이득을 취할수도 있고, 손해를 입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선택의 결과를 100% 인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의사결정을 할 때 불확실성이 항상 존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리스크를 감안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이유는 효용을 얻기 위해서다. 그리고 우리는 최선의 선택을 하여 최대의 효용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리스크를 아예 회피하는 사람도 있다. 자기가 하는 선택이 비록 효용이 낮더라도 가장 안전한 선택을 하는 경우이다. 이는 사람들마다 모두 다르기에 위험성향 역시 사람들마다 다르다. 2가지 접근방식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두가지 종류의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1. 어떤 상황이 실현..

지수의 필요성 우리는 삶을 살면서 의사결정을 내릴 때, 합리적이고 설들력있는 주장이 있어야지만 결정을 내린다. 그리고 결정의 척도로 지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수는 현재 우리의 생활수준이 어떠한 변화가 생겼는지를 알려줄 수 있고, 어떠한 상품의 양이 줄었는지 늘었는지에 따라서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지수는 모든 상품의 가격에 생긴 변화를 총제적으로 판단하여, 소비자(구매자)가 질분하는 가격이 평균 이상으로 상승한 것인지 하락한 것인지를 판단할 때 '지수'가 필요하다. 이러한 지수는 두가지 종류로 나뉜다. 수량지수와 가격지수이다. 수량지수 수량지수는 상품의 양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알려 준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생활수준의 변화를 더욱 잘알려주는 것은 수량지수이다. 지수를 파악하는..

기펜재의 개념 기펜재란 가격상승할 때 수요가 늘어나고, 가격이 하락할 때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이다. 즉 수요의 법칙에 성립하지 않는 재화이다. 기펜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M)증가 시 오히려 감소하는 열등재의 성격을 갖고 있다. 둘째, 열등재이기 때문에 소득 증가시 수요가 감소하는 소득효과의 크기가 가격 하락시 수요가 증가하는 대체효과의 크기보다 큰 재화를 의미한다. 기펜재의 도출 위의 그래페어서 처럼 대체효과는 가격 하락시 수요가 증가해 A-C구간이지만, 기펜재는 열등재이면서 동시에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균정음은 그래프 맨 좌측 쯤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열등재의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했음에도 오히려 수요량이 감소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를..

디플레이션의 개념 디플레이션이란 쉽게 정의를 하자면 물가 하락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근원물가를 제외하고 광범위한 품목 내에서 물가하락세가 지속되며, 경제주체 다수가 물가 하락을 예상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근원물가란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물가이다. 제외를 하는 이유는, 에너지와 식료품은 물가의 변동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통화기금(IMF)은 디플레이션을 2분기 이상 물가 하락세가 지속될 경우 경기침체에 빠졌다고 한다. 디플레이션 1. 광범위한 품목에서 물가하락세가 지속(근원물가 제외) 2. 많은 경제 주체들이 물가하락이 지속될 것이라 예상하는 상황 3. IMF=2분기 이상 물가하락세인 경우 경기침체 디플레이션의 효과 디플레이션은 두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로..

만약 오늘날 정부가 교통혼잡 및 환경오염등의 이유로 자동차에 주행세를 부과한다면, 자동차의 이용은 명백히 감소할 것이다. 하지만 그로인해 소비자들의 자동차에 대한 효용은 감소할 것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정부를 상대로 반발할 것이다. 정부는 이에 압박감을 느끼고 조세 리베이트(tax-rebate)를 고려하고 있다. 정부는 소비자들의 자동차에 대한 효용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1) '주행세 부과에 따른 소득감소분의 크기'만큼 조세를 리베이트해주는 것을 하게될 경우와 2) '주행세 부과 전 소비자들이 누리던 효용'만큼의 조세를 리베이트 해야할 지에 대한 선택지에 놓여있다. 1)'주행세 부과에 따른 소득감소분의 크기'만큼 정부가 조세 리베이트 주행세 부과시 자동차 이용이 감소하면서 새로 생긴 예선상에서 균..

만약 재화의 성격이 열등재일 경우, 임금의 상승이 노동공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노동공급에서는 일반적으로 재화는 여가(L)로 여겨진다. 이러한 여가가 열등재일 경우에는 일반적인 노동공급과 차이가 있다. 1. 노동공급의 최적의사결정 일반적으로 노동자는 하루 24시간 중 수면과 취식을 제외하고 14시간을 노동과 여가로 소비한다. L(여가)+H(노동)=14다. 따라서 노동자는 14시간을 각각 노동과 여가로 분배해야하며 노동자가 느끼는 효용은 여가와 소득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소득(M)은 임금(W)와 노동(H)의 곱으로 산출된다. 2. 여가가 열등재일 경우 노동공급 임금 상승시 노동의 공급은 대체효과로 인하여 증가하지만, 소득 증가시 여가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득효과에 의해 노동..

양적완화(QE)의 개념 양적완화란 금리가 제로금리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에 통화 유동성이 활발하지 않는 등 경제부양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 중앙은행이 화폐를 발행하여 정부의 장기채권을 시중은행(시중금융)으로부터 매입하는 통화정책을 의미한다. 양적완화를 통해 시중은행으로 유입된 화폐와 그 유동성은 시중은행이 가계 혹은 기업에 대출을 해줌으로서 통화량이 증대되고 경기부양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시중은행이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가계 혹은 기업에게 대출해주지 않고 중앙은행에 재예치를 하거나 해외투자를 할 경우 실질적으로 통화량의 증대는 제한적이게 되며 경기부양효과 역시 효과가 미미해질 것이다. 2008년 이후 양적완화를 3번이나 진행하였지만, 실제로 경기부양효과가 제한적이였던 이유 역시 시중은..

노동공급결정 하루 24시간 중 우리가 수면 시간과 식사시간을 위해 10시간을 사용한다. 나머지 14시간은 노동과 여가를 위해 사용된다. 즉 노동시간을 H로, 여가시간을 L으로 설정한다면 H+L=14 이다. 이를 효용함수로 표현하자면 U=(L,M)이다. 제약조건은 시간당 임금금을 W0으로 가정 시, 소득은 M=W0*H 이다. 우리와 같은 일반 노동자들의 효용함수는 U=(L,M)이며 이를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즉 X축을 여가로 Y축을 소득으로 설정하고 소득과 여가가 많아질수록 효용은 증가한다. 그렇다면 노동자의 예산식은 어떠한가? 우선 공식을 보자면 M(소득)=H(노동)*W0이며, 제약조건은 H+L=14이다. 따라서 M=(14-L)이다. 그렇다면 노동자의 임금 상승시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에 대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