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재정정책
- TOEIC specking
- 미시경제
- 주식
- 합자회사
- 합명회사
- 미시경제 #기대효용이론 #확실성등가 #리스크프리미엄
- 주식초보
- 통화정책
- 종합주가지수 개념
- 전세상한제
- 빅맥지수 #Big mac Index
- 가격상한제
- 토스
- 가격하한제
- 양적완화 #헬리콥터머니 #quantitative easing
- 유동성함정
- 미시경제 #조건부상품
- 무차별곡선 #한계효용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예산선 #미시경제
- 개념용어
- 공모주
- 토익스피킹
- TOEIC Speaking
- 노동공급결정 #사회복지제도 #소비저최적선택이론
- 유한회사
- 주가의 종류
- 이코노미
- ROE
- PSR
- IS-LM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2)
프라하또가고싶다
풍력 같은 경우에는 지역별로 연도별 예상 설치량이 나와있는데, 아무래도 풍력 단지 조성은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략적인 숫자는 미리미리 나옴. →전세계의 23년 설치량이 88000mw 정도. 이게 시장규모가 어느정도인지, 그 중에서 씨에스윈드가 얼마를 먹을 수 있는지 계산해본다면 approximately하게 씨에스윈드의 미래 매출이 나올지 예측이 가능할 듯. 그리고 거기에 예상 영업이익률과 Target per을 넣으면 목표 주가가 나옴. 최근 애널들 리포트를 이것저것 보다보니 해상풍력의 원가 구성에 대한 자료가 있었음. 풍력turbine을 제외한 풍력 단지를 조성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kw당 $2498. 이중 하부구조물 및 기초시설이 15.2% 정도를 차지함. 아마 타워랑 모노파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8RFy/btqDyNPitrc/ReO52RAERJTuqMA3spGe01/img.png)
ㅣ GDP의 총수요는 재화시장, 화폐시장, 외환시장으로 구분되어있다. 그 중 재화시장과 화폐시장은 자유무역이 허용되지 않는 것을 가정해 이를 폐쇄경제라고 하며, 외환시장은 개방경제의 형태이다. 즉, GDP의 총수요의 균형을 구성하는 요소를 폐쇄경제와 개방경제로 나눌 수 있다. 재화시장의 균형(IS)재화시장의 균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 (총생산) = C (가계지출) + I (기업지출) + G (정부지출) 이를 세금(t)를 적용한 후 다른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Y - T - C ) + ( T - G ) = I Sp (민간저축) + Sg (정부저축) = I S (총저축) = I (총 투자) 그리고 이러한 저축과 투자를 일치시키는 매개변수는 이자율(r)이다. 이를 우리는 재화시장의 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czjl/btqDsOVs6vV/OxjVb9aPF16XT5G1kKChFK/img.png)
소비자 물가지수(CPI)란 도시가계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가격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이는 약 460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460개의 대표 품목 선정 방식 2015년 기준 소비자물가지수는 38개 도시 460개의 대표품목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대표품목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이 일정비율 이상이다. ② 동종 품목군의 가격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시장에서 계쏙적으로 가격조사가 가능한 품목이여야 한다. 소비자물가지수의 가중치는 각각의 대표품목에 부여되는 수치로서, 각각의 대표품목이 전체 가구의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소비자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친다. 가중치는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서 나오는 우리나라 가국의 소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3IIQ/btqDlNDnQVC/quER8pQZkT5fkrh7V4U2n0/img.png)
GDP의 증가는 일자리의 증가이며 국민소득이 증가하여 삶이 윤택해진다는 의미이다. 즉 국가 후생수준의 척도로 활용되며 국가간 후생수준을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GDP에 대한 과도한 맹신은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 밖에 없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총생산(GDP)의 활용과 한계점 1. 후생척도로써 GDP의 한계 GDP가 시장밖에서 거래되는 재화와 용역의 경우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GDP를 경제성과의 지표로 활용하는 국가의 경우 시장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구하거나, 가격과 시장을 강조하다보면 부작용이 발생한다. 예) 주부의 가사노동은 GDP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할머니가 뜨개질을 하여 가족에게 선물한다면 GDP에 포함되지 않는다. 반면에 할머니가 뜨개질을 하여 온라인 쇼핑몰에 판매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CKUq/btqDf1mMT40/t0ULaNBbkM37duTYveTKFK/img.png)
국내총생산(GDP) GDP의 개념: GDP란 한 나라에서 일정기간 동안 경제주체(가계, 기업, 정부)에 의해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최종 시장가치의 합이다.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키워드로 GDP를 요약할 수 있다. 한 나라, 한 영토, 한 국가경제를 기준 경제주체 가계, 기업, 정부를 의미하며, 해당 국가의 외국인 내국인 포함 모든 재화와 서비스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만 해당 최종 시장가치 부가가치세 등 간접세가 포함된 최종 시장의 가격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총생산 = 총소득 =총지출, 즉 총생산, 총소득, 총지출은 순환이 되어야 한다. 만약 총생산>총소비 혹은 총생산> 총지출이 되면 경기침체가 온 것이라고 봐야 한다. 국내총생산(GDP)의 측정- 총소득의 관점 에서 국내총생산(GDP)은 국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zYyj/btqDeI9gczI/EUZPZPQN2mMe6rQMDelFK0/img.png)
미시경제학은 개별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형성되는 균형에 대해서 배웠다면 거시경제학은 말 그대로 더 넓은 관점에서, 국가경제 전체의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한 균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거시경제는 학파별로 서로 의견이 다르기에 논쟁이 있었다. 지금부터 거시경제의 역사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자. 고전학파의 시대 가장 처음으로 거시경제라는 학문이 탄생했던 시기이다. 경제학의 아버지인 애덤스미스가 국부론을 발행한 시기이기도 하다. 당시는 산업혁명 직전의 시대이기도 하고, 제품이 공장에서 수공업으로 제조됐던 시기이다. 이에따라 물질만능주의가 확산되었고, 소규모 생산이 주된 제품생산방식이였다. 즉, 제품을 만들어 공급을 하자마자 수요가 있는 공급주의이자 세이의 법칙이 따랐던 시기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kNrK/btqC3NqwcXk/bHxQR32Ewhry0OaUT5Nb1k/img.png)
지금까지는 소비자를 중심으로한 소비자 수요곡선 및 효용함수에 대해서 배웠다.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생산자에 초점을 둔 생산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우선, 기업의 최대 목표는 이윤극대화이다. 이윤이 극대화 될수록 생산자의 효용은 증가한다. 그러나 기업의 비용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제한된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량을 뽑아내는 것이 기업의 입장에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이를 생산함수 Q = f ( L , K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총생산량은 노동L과 자본K로 구성돼있다 그러나 대게 자본K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생산량은 노동 L의 변화량에 의해 결정된다. 한계수확체감의 법칙 생산곡선은 위와 같다. 처음에는 노동을 투입할수록 생산량이 증가한다. 즉 한계체증의 법칙이 작용된다. 그러나 변곡점을 지난 순간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3gH3/btqC6k8Ey4E/pYd7VWdpEmIEh6I9UxXbCK/img.png)
저번 글에서는 불확실성과 조건부상품에 대해서 다뤘었다. 조건부상품이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두가지 선택지에서 어떠한 선택을 했을 시 서로 결과값이 달라지는 조건부적 상황에 대한 선택의 문제다. 기대효용이론이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여러 선택지가 있을 시 기대효용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선택모형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다. 기대효용이론 현실에서는 선택지가 딱 두가지인 경우는 매우 적다. 대게 불확실성하의 선택은 두가지 이상의 가능한 상황이 결부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폰 노이만과 모겐스턴은 기대효용이론을 활용하여 각각의 선택을 분석했다. 즉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는 기대효용을 극대화하는 결정을 갖는다는 했다. 기대효용,EU(W)이란, 불확실성하에서 어떤 선택에 따른 주관적인 효용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