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합명회사
- 가격하한제
- 주식
- 합자회사
- 전세상한제
- TOEIC specking
- 무차별곡선 #한계효용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예산선 #미시경제
- 미시경제 #조건부상품
- 미시경제
- 공모주
- 토익스피킹
- 유한회사
- 미시경제 #기대효용이론 #확실성등가 #리스크프리미엄
- TOEIC Speaking
- 노동공급결정 #사회복지제도 #소비저최적선택이론
- 토스
- 양적완화 #헬리콥터머니 #quantitative easing
- 이코노미
- 주가의 종류
- 가격상한제
- 유동성함정
- ROE
- PSR
- 통화정책
- 주식초보
- 종합주가지수 개념
- 재정정책
- 빅맥지수 #Big mac Index
- 개념용어
- IS-LM
- Today
- Total
프라하또가고싶다
팬데믹(Pandemic)이란? 본문
오늘 텔레비전에서도 네이버 인기 검색어에서도 하루 종일 '팬데믹'이라는 단어가 순위에 올랐다.
팬데믹(Pandemic)이라는 간단히 말해서 '어떠한 질병이 전 대륙적으로 퍼져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Pan은 그리스어로 '모두'라는 뜻이고, demic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의미하며 유래됐다.
또한 방금(3월10일) 국립국어원에서 팬데믹의 순 우리말을 '세계적 유행'으로 칭하였다.
팬데믹이 인기검색어 순위에 오른 이유는 코로나 19를 CNN 및 WHO가 '팬데믹' 단계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코로나 19는 아시아 및 중동 국가를 넘어 유럽으로까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기존에도 이탈리아에는 성행하고 있었지만 오늘 3월 10일 기준으로 독일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이탈리아 역시 모든 스포츠 대회를 중단하였다.
(세리에 A리그 역시 잠정 중단! 그렇다면 이탈리아 팀들이 챔피언스리그 및 대륙대회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WHO든 국내든 옆동네에 불이 났을 때는 구경만하다가 정작 자기 동네에 불이 나자 허겁지겁 해결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똑같다.(이것이 잘못됐다기보다는, WHO(세계 보건기구) 같은 곳이라면 조금 더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이번 코로나 사태에 대해 심각성을 갖고 언론 보도나 대중들에게 전파를 하는 것에 신중했어야 한다는 뜻이다.
물론 자기들도 엄청나게 연구를 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WHO의 대응에 대한 평가는 좋지 못하다.)
팬데믹 경보 단계
아무튼 팬데믹 이야기로 다시 돌아오자면 WHO는 감염병의 위험도를 1~6단계로 나누어 6단계를 최고비상단계인
팬데믹이라 칭하였다.
1단계 | - | 동물사이에 한정된 전염 |
2단계 | 동물사이에서 전염되다, 소수의 사람에게 전염 | |
3단계 | 사람들 사이에서 전염이 증가한 상황 | |
4단계 | epidemic(에피데믹) | 사람들 사이에서 전염속도가 증가하여 위험 초기 증상 |
5단계 | pandemic(팬데믹) | 전염이 널리퍼져 최소 2개국 이상에서 질병 발생한 위험상황 |
6단계 | 전염이 다른 대륙에서도 퍼지기 시작하여 세계적 비상상황 |
팬데믹 충족요건
팬데믹을 충족시키려면 특정한 규정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규정은 다음과 같다.
1. 최소 두개 이상의 대륙으로 퍼져있어야 한다.
= 그런데 진작에 퍼지지 않았었나? 중국.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를 넘어 중동 국가인 이란까지 펴졌었는데, 이탈리아와 독일의 사태가 심각해지자 팬데믹 경보를 울리는 것은 무슨 상황인가?
2. 질환이나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
= 중국에서는 지금까지 확인된 사망자만 해도 6천명이 넘고 우리나라도 현재 54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HO는
팬데믹 상황을 경보하지 않았다. 미국의 CNN방송사가 먼저 이번 코로나 19에 대해서 '팬데믹'사태로 보도하였다.
3. 이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사람 간 전염
=이러한 팬데믹을 충족시키기 위한 세가지 충족요건은 진작에 충족시킨 코로나 19이다.
팬데믹 사례
이러한 팬데믹 사태로 판명됐던 사례는 지금까지 두번있었다. 첫 번째로 홍콩독감(1968년)이다. 당시 홍콩독감은 6개월 이상 지속되었고 아시아 국가를 넘어 전 세계에서 1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초래했던 사례이다. 현재 홍콩독감은 백신이 개발이 되었지만 아직까지 질병 유행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두 번째로는 멕시코에서 발병된 신종플루(2009년)이다. 2009년 봄 멕시코에서 시작돼 이후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초기에는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돼지를 통해 발생했기 때문에 '돼지독감'으로도 불렸다. 당시 신종플루는 214개국에서 발병해 전 세계적으로 1만 8500명이 사망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75만 명이 감염돼 250여 명이 사망한 바 있다. 그러나 신종플루는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가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면서 지금은 신종플루가 아닌 A형 독감으로 불리고 있다.
'공부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요인 및 아파트 시장 전망 (0) | 2020.03.22 |
---|---|
환율 및 달러가치 결정요인 (0) | 2020.03.11 |
금리(interest rate) (0) | 2020.03.10 |
셰일오일의 성장 (0) | 2020.02.26 |
국제유가 결정요인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