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하또가고싶다

9. 임금 상승과 노동공급 본문

공부/미시, 거시

9. 임금 상승과 노동공급

기묘굥빡빡이 2020. 3. 31. 05:31
반응형

 

 

만약 재화의 성격이 열등재일 경우, 임금의 상승이 노동공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노동공급에서는 일반적으로 재화는 여가(L)로 여겨진다. 이러한 여가가 열등재일 경우에는 일반적인 노동공급과 차이가 있다.

 

1. 노동공급의 최적의사결정

 

일반적으로 노동자는 하루 24시간 중 수면과 취식을 제외하고 14시간을 노동과 여가로 소비한다. L(여가)+H(노동)=14다. 따라서 노동자는 14시간을 각각 노동과 여가로 분배해야하며 노동자가 느끼는 효용은 여가와 소득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소득(M)은 임금(W)와 노동(H)의 곱으로 산출된다.

 

2. 여가가 열등재일 경우 노동공급

임금 상승시 노동의 공급은 대체효과로 인하여 증가하지만, 소득 증가시 여가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득효과에 의해 노동공급은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큰 경향이 있어서 임금 상승시 노동의 공급이 증가하는 것일 일반적이다. 하지만 여가가 열등재라면 소득 증가시 오히려 여가가 감소하고 노동의 공급이 증대되기 때문에 임금 상승후 최종 균형점은 보라색 지점이 된다. 따라서 여가가 열등재인 경우에는 소득효과에 의해서 오히려 여가가 감소하고 노동의 공급이 증가되는 형태가 된다.

 

정상재 임금 상승→노동공급증가(대체효과), but 소득증가→여가증가
=임금상승여가증대
열등재 임금 상승 - 노동공급증가(대체효과), but 소득증가→여가감소
=임금상승→여가감소

 

반응형
Comments